반응형

시스템(Linux) 110

리눅스에서 자신의 공인 IP 혹은 서비스 IP 찾는 방법

Ⅰ. curl 이란? curl 은 Client URL의 약자로 URL 구문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는 명령줄 도구입니다. cURL은 다양한 프로토콜을 지원하여 인터넷에서 데이터를 가져오거나 업로드할 때 많이 사용됩니다. 주로 HTTP, HTTPS, FTP, FTPS, SCP, SFTP, TFTP, DICT, TELNET, LDAP, LDAPS, FILE 및 GOPHER 프로토콜을 지원합니다. * Gopher 프로토콜은 웹 브라우저가 널리 사용되기 이전에 정보 검색과 문서 배포를 위해 많이 사용되었습니다. 이 프로토콜은 파일, 디렉토리, 문서 및 기타 리소스를 계층적 메뉴 형식으로 제공하여 사용자가 정보를 쉽게 탐색할 수 있습니다. Ⅱ. curl  설치 방법1. YUM or DNF 설치ⅰ. YUM을 사용한 ..

시스템(Linux) 2024.06.25

리눅스 및 유닉스 시스템에서 디렉토리와 파일의 디스크 사용량을 확인하는 명령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Ⅰ. du 명령어란 ? du (disk usage) 명령어는 리눅스 및 유닉스 시스템에서 디렉토리와 파일의 디스크 사용량을 확인하는 데 사용됩니다. 지정된 파일이나 디렉토리의 크기를 표시하며, 하위 디렉토리의 크기도 포함하여 확인할 수 있습니다. Ⅱ. du 명령어 사용법 ⅰ. du 명령어 기본 사용법기본적으로 du 명령어는 명령어가 실행된 현재 디렉토리의 모든 하위 디렉토리와 파일의 디스크 사용량을 블록 단위로 출력합니다.du [옵션명] [파일/디렉토리] ⅱ. du 명령어 옵션 설명옵션명설명예시문-h (human-readable)사람이 읽기 쉬운 형식으로 출력 (KB, MB, GB 등)du -h-s (summarize)지정된 파일이나 디렉토리의 총 사용량만 출력du -s-c (total)지정된 파일이나 ..

시스템(Linux) 2024.06.21

리눅스 및 유닉스 시스템의 파일시스템 용량 확인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Ⅰ. df 명령어란 ? df 는 Disk Filesystem의 약자로 각 파일 시스템의 총 용량, 사용된 공간, 남은 공간 및 파일 시스템이 마운트된 위치를 표시합니다. 리눅스 및 유닉스 시스템에서 파일 시스템의 디스크 공간 사용량을 확인하는 데 사용됩니다.Ⅱ. df 명령어 제공 정보Filesystem: 파일 시스템의 이름 또는 장치 이름. 1K-blocks: 파일 시스템의 총 크기 (기본적으로 1K 블록 단위). Used: 사용된 공간. Available: 사용 가능한 공간. Use%: 사용된 공간의 백분율. Mounted on: 파일 시스템이 마운트된 디렉터리 경로.  Ⅲ.기본 사용법 ⅰ. df : 현재 시스템에 마운트된 모든 파일 시스템의 디스크 사용량을 출력합니다ⅱ.  df -h(human-rea..

시스템(Linux) 2024.06.20

소스 설치, RPM, YUM, DNF의 특징과 차이점

소스 설치, RPM, YUM, DNF는 리눅스 환경에서 소프트웨어를 설치하고 관리하는 주요 방법들입니다. 이들의 특징과 차이점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겠습니다. 소스설치와 RPM 의 경우 의존성 문제로 인해 설치가 안될 수도 있습니다. 의존성 문제란 ?의존성 문제는 RPM 패키지가 다른 소프트웨어, 라이브러리, 또는 특정 버전의 패키지를 필요로 할 때 발생합니다. 이러한 의존성이 충족되지 않으면 설치가 실패합니다. 예를 들어, 패키지 A를 설치하려고 할 때 패키지 B가 필요하지만 시스템에 패키지 B가 없거나, 올바른 버전이 아니면 설치가 진행되지 않습니다. 의존성문제DNF / YUM  > RPM 설치 > 소스 설치 Ⅰ. 소스 설치 (Source Installation)  ⅰ) 정의소스 설치는 소프트웨어의 소..

시스템(Linux) 2024.06.12

Chrony 소스 설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chrony 는 네트워크 시간 동기화를 위한 시간 동기화 소프트웨어입니다. chrony는 다양한 Linux 배포판에서 사용할 수 있으며, 대부분의 경우 시스템 패키지 관리자를 통해 설치할 수 있습니다. yum 이나 dnf 명령어를 통해 설치하는 방법도 있지만, 직접 chrony 소스를 설치하고 설정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chrony 소스를 설치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Ⅰ. Chrony 소스 다운로드Chrony 소스 코드를 다운로드합니다. Chrony 웹 사이트에서 최신 버전의 소스 코드를 다운로드할 수 있습니다. 다음 명령을 사용하여 소스 코드를 다운로드할 수 있습니다:wget https://download.tuxfamily.org/chrony/chrony-3.5.tar.gzⅡ. 압축 해제다운로드..

시스템(Linux) 2024.06.10

리눅스 부팅 순서와 런 레벨(Run Level)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Ⅰ. 리눅스 부팅 순서 ⅰ) BIOS 또는 UEFI 시작 컴퓨터 전원을 켜면, 기본 입력/출력 시스템(BIOS) 또는 최신 시스템에서는 UEFI(통합 확장 가능한 펌웨어 인터페이스)가 실행됩니다. 이 단계에서는 하드웨어를 초기화하고 부팅 장치를 찾습니다. ⅱ) 부팅 장치 선택 BIOS 또는 UEFI는 부팅 우선 순위에 따라 부팅 장치를 선택합니다. 일반적으로 하드 디스크(SSD 또는 HDD), CD/DVD 드라이브, USB 드라이브, 네트워크 등이 가능한 부팅 장치입니다. ⅲ) 부트로더 로드 선택된 부팅 장치에는 부트로더(Boot Loader)가 저장되어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GRUB(GRand Unified Bootloader)이나 LILO(LInux LOader) 등이 있습니다. 부트로더는 운영 체제..

시스템(Linux) 2024.05.18

Rocky Linux Docker 설치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ⅰ. 패키지 매니저 업데이트 ⅱ. Docker 설치에 필요한 패키지를 설치[root@localhost ~]# dnf -y install dnf-plungins-coreⅲ. Docker CE 저장소를 추가dnf config-manager --add-repo=https://download.docker.com/linux/centos/docker-ce.repo ⅳ. Docker CE 를 설치[root@localhost ~]#  dnf -y install docker-ce ⅴ. Docker 서비스를 시작하고 부팅 시 자동으로 시작하도록 설정[root@localhost ~]# systemctl start docker [root@localhost ~..

시스템(Linux) 2024.05.02

DNS 질의를 수행할 때 다양한 옵션을 사용하여 결과를 확인할 수 있는 dig 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Ⅰ. Dig( Domain Information Groper)란? DNS(Domain Name System) 질의 도구로 사용됩니다. DNS는 인터넷에서 도메인 이름을 IP 주소로 변환하거나, IP 주소를 도메인 이름으로 변환하는 등의 역할을 수행합니다. dig 명령어를 사용하면 특정 도메인에 대한 DNS 정보를 조회하고 확인할 수 있습니다. 주로 리눅스와 유닉스 시스템에서 사용됩니다 Ⅱ. Dig 설치 확인 및 설치 진행ⅰ) dig 설치 확인dnf list installed | grep bind-utils ⅱ) dig 설치yum install bind-utils            ordnf install bind-utils Ⅲ. Dig 사용방법 ⅰ) 도메인 이름 해석: dig를 사용하여 특정 도메인 이..

시스템(Linux) 2024.04.30

Rocky Linux에 ssh 원격 접속할 때 계속 패스워드가 틀렸다고 나올 경우 조치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Ⅰ. 증상 ⅰ) IP 설정 이후 SSH 원격 접속을 시도를 합니다.  ⅱ) SSH 원격 접속 시 패스워드가 계속 틀렸다 나오지만, 서버에서 접속 시 패스워드가 맞습니다. Ⅱ. 원인신규 서버에서 IP 셋팅까진 문제없이 잘 되었으나 SSH 로그인 시도 시 패스워드가 틀리는 경우가 있습니다. Rocky 리눅스 설치 시 Root Password 를 지정하는 부분에 "Allow root SSH Login with password" 를 체크하지 않을 경우 ssh 접속 시 패스워드가 틀렸다고 나옵니다.  ※   "Allow root SSH Login with password"   설정은 리눅스 시스템에서 SSH를 통한 루트(root) 계정으로의 로그인을 허용하는 설정입니다. Ⅲ. 조치 방법  ⅰ) sshd 설정 파일..

시스템(Linux) 2024.04.29

시스템 활동에 대한 리소스 사용 및 성능 통계를 확인하는 명령어인 sar 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Ⅰ. sar 이란? sar (System Activity Reporter)명령어는 시스템 활동에 대한 리소스 사용 및 성능 통계를 보고하는 유틸리티입니다. 리눅스와 유닉스 시스템에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대부분의 경우 별도로 설치할 필요가 없습니다. 그러나 경우에 따라 시스템에 설치되어 있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해당 패키지를 설치해야 합니다. Ⅱ. sar 설치 방법 대표적으로 Debian 계열의 시스템(Ubuntu 포함)에서는 다음과 같이 sar을 설치할 수 있습니다: sudo apt-get update sudo apt-get install sysstat Red Hat 계열의 시스템(CentOS, Fedora 등)에서는 다음과 같이 설치할 수 있습니다: sudo yum in..

시스템(Linux) 2024.04.2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