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시스템(Linux) 103

vi: command not found 오류 발생 시 조치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Ⅰ. 도커 컨테이너에서 vi: command not found 오류가 발생하는 이유 도커 이미지가 기본적으로 최소한의 패키지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vi 또는 vim 같은 에디터가 설치되어 있지 않기 때문입니다. Ⅱ. 도커 컨테이너에서 vi 명령어를 찾지 못할 때의 해결 방법ⅰ. 실행 중인 도커 컨테이너에 접속 해당 오류가 발생한다면 이미 컨테이너 안에 접속이 되어있을텐데 혹시 접속하지 않은 상태라면 다음 명령어로 접속할 수 있습니다docker exec -it  /bin/bashⅢ. 도커 컨테이너 안에서 vim 또는 vi 설치사용 중인 도커 이미지 종류에 따라 설치 방법이 다릅니다.  ⅰ. Debian/Ubuntu 기반 이미지apt updateapt install vim -yⅱ. CentOS/RHEL 기..

시스템(Linux) 2024.10.09

쿠버네티스(Kubernetes)를 구성하고 관리하는 주요 도구인 kubeadm, kubectl, kubelet에 대해 역할과 기본 사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Ⅰ. kubeadm, kubectl, kubelet 이란? ⅰ. kubeadm   : 쿠버네티스 클러스터를 생성하고 관리하는 데 사용되는 도구입니다. 클러스터 초기화와 노드 추가 등에 사용됩니다.  ⅱ. kubectl   : 쿠버네티스 클러스터에서 리소스를 관리하고 상태를 점검하는 데 사용되는 명령줄 도구입니다.  ⅲ. kubelet   : 각 노드에서 실행되는 데몬으로, 컨테이너의 라이프사이클을 관리하고 API 서버와 상호작용합니다.Ⅱ. kubeadm 정의 쿠버네티스 클러스터를 쉽게 설정하고 관리할 수 있게 해주는 도구입니다. 클러스터 초기화, 노드 추가, 업그레이드 등의 작업을 간소화합니다. Ⅲ. kubeadm 주요 기능 및 역할 ⅰ. 쿠버네티스 클러스터를 설치하고 초기화하는 데 사용  ⅱ. 마스터 ..

시스템(Linux) 2024.10.06

Docker 와 Kubernetes 비교 Ⅱ

Ⅰ. Docker 와 Kubernets 컨테이너 비교 1. Docker  ⅰ. 역할    : 애플리케이션을 컨테이너로 패키징하고, 이를 배포 및 실행하는 데 사용하는 플랫폼이다.  ⅱ. 단일 컨테이너    : 하나의 컨테이너에 하나의 프로세스를 실행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예를 들어, 웹 서버, 데이터베이스 등은 각각 별도의 컨테이너에서 실행된다.  ⅲ. 이미지    : 컨테이너를 생성하기 위해 Docker 이미지를 사용하며, 이 이미지는 컨테이너에 필요한 애플리케이션과 종속성들을 포함한다.   ⅳ. 도구    : Docker는 기본적으로 컨테이너를 빌드하고, 실행하며, 네트워크 연결을 설정하고 저장소와 연결하는 다양한 도구들을 제공한다.2. Pod (Kubernetes) ⅰ. 역할   : Kubernet..

시스템(Linux) 2024.10.05

Docker 와 Kubernetes 비교 Ⅰ

Ⅰ. Docker(도커)란?Docker는 애플리케이션을 컨테이너라는 가상화된 환경에서 실행하기 위한 플랫폼입니다. 컨테이너는 가볍고 독립적인 실행 환경을 제공하며, 코드와 그 코드가 실행되는 데 필요한 모든 라이브러리, 의존성 등을 포함하여 어디서나 동일하게 실행될 수 있습니다. Ⅱ. Docker의 주요 특징ⅰ. 컨테이너화 기술      : 애플리케이션과 그 종속성을 패키징하고, 어디서든 일관되게 실행할 수 있게 합니다. ⅱ. 가상머신보다 가벼움      : Docker 컨테이너는 VM보다 훨씬 가볍고, 빠르게 실행 및 종료됩니다. ⅲ. 이미지 관리      : Docker 이미지를 빌드하고 저장하며, 여러 환경에서 공유할 수 있습니다. ⅲ. 개별 컨테이너 관리      : Docker는 개별 애플리케이..

시스템(Linux) 2024.10.04

Docker 명령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명령어설명사용법docker pullDocker Hub 또는 다른 레지스트리에서 이미지를 다운로드합니다.docker pull 1) Docker Hub 이미지 다운로드https://hub.docker.com/ Docker Hub Container Image Library | App ContainerizationIncrease your reach and adoption on Docker Hub With a Docker Verified Publisher subscription, you'll increase trust, boost discoverability, get exclusive data insights, and much more.hub.docker.com 2) AWS 이미지 다운로드https://galle..

시스템(Linux) 2024.10.04

인터넷이 안되는 리눅스 환경에서 도커 설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Ⅰ. Docker 설치파일 다운로드ⅰ. 버전별 도커 설치파일 다운로드https://download.docker.com/linux/centos/?_gl=1*1c724ru*_gcl_au*MTc3MTk0ODk3NC4xNzI3MDY3OTE0*_ga*ODI2Nzc0NDk0LjE3MjcwNjc5MTU.*_ga_XJWPQMJYHQ*MTcyNzE1NDEzNS40LjEuMTcyNzE1NDE0OS40Ni4wLjA.  Index of linux/centos/ download.docker.comⅱ. OS 확인 및 시스템 아키텍쳐에 맞는  Docker Packages 파일을 다운로드 합니다.Ⅱ. Rocky 8 기준 Docker 설치 방법ⅰ. Docker Packages 다운로드 및 Docker 용 서버에 업로드https://d..

시스템(Linux) 2024.10.02

리눅스 운영체제에서 디스크 타입이 SATA, SSD, SAS인지 확인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리눅스 운영체제에서 디스크 타입이 SATA, SSD, SAS인지 확인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주로 lsblk, hdparm, smartctl 등의 명령어를 통해 디스크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Ⅰ. lsblk 명령어로 디스크 정보 확인 lsblk 명령어를 사용하여 디스크의 인터페이스 유형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lsblk -d -o name,rota,tranⅰ. rota 값1: 회전하는 디스크 (HDD, SATA, SAS) 0: 회전하지 않는 디스크 (SSD)ⅱ. tran 값sata: SATA 디스크 sas: SAS 디스크 nvme: NVMe SSD  Ⅱ. lsblk 명령어로 디스크 정보 예시 출력NAME  ROTA TRANsda      1         satasdb      0    ..

시스템(Linux) 2024.09.25

Emacs 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Ⅰ. Emacs 란? 매우 강력한 텍스트 편집기 중 하나로, 1976년 리처드 스톨만(Richard Stallman)이 처음 개발한 이후로 여러 버전이 나왔습니다. Emacs는 확장 가능하고 사용자 정의 가능한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단순한 텍스트 편집기 이상의 기능을 제공합니다. 프로그래밍, 글쓰기, 이메일 관리, 일정 관리 등 다양한 작업을 처리할 수 있습니다. Ⅱ. Emacs의 특징ⅰ. 확장성: Emacs는 사용자가 직접 기능을 추가하거나 수정할 수 있는 강력한 확장성을 제공합니다. 주로 Emacs Lisp이라는 언어로 기능을 추가할 수 있습니다. 사용자가 자신에게 맞는 편집 환경을 만들어 사용할 수 있습니다. ⅱ. 다양한 모드 1) Emacs는 **메이저 모드(Major Mode)**와 **마이너..

시스템(Linux) 2024.09.23

.exrc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Ⅰ. '.exrc'란?'.exrc'는 vi  텍스트 편집기에서 사용되는 구성 파일입니다. 이 파일은 vi 이 시작될 때 자동으로 로드되어 편집기의 동작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파일 이름은 '.exrc'로, 일반적으로 사용자의 홈 디렉터리에 위치합니다..exrc는 vi의 오래된 설정 파일 형식이며, 현재는 vim을 사용하는 경우 .vimrc 파일을 선호합니다. Ⅱ. '.exrc' 주요 기능 ⅰ. 커맨드 설정   '.exrc' 파일에 vi 또는 vim의 커맨드를 정의하여 편집기의 동작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기본 동작을 변경하거나 특정 플러그인, 사용자 정의 명령 등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ⅱ. 환경 설정   1) 편집기 설정: 기본 탭 크기, 자동 들여쓰기, 구문 강조 등 편집기의 동작을..

시스템(Linux) 2024.09.23

리눅스 프로세스 상태를 확인하는 명령어인 ps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Ⅰ. ps 명령어란 ?리눅스(Linux) 및 유닉스(Unix) 계열 운영체제에서 실행 중인 프로세스를 확인하는 데 사용됩니다. 시스템에서 현재 실행 중인 프로세스들의 정보를 출력하며, 사용자는 프로세스 상태, PID(프로세스 ID), CPU 사용률 등 다양한 프로세스 관련 정보를 볼 수 있습니다. Ⅱ. ps 명령어 기본 사용법ps 명령어는 여러 옵션을 제공하며, 기본적으로는 터미널에서 다음과 같이 사용됩니다:[root@feccle ~ ] # ps [옵션] * 옵션 설명옵션명요약설명-e모든 프로세스 보기POSIX 표준에 따른 옵션으로 모든 프로세스 보여줍니다.-A모든 프로세스 보기-e 와 동일한 결과를 출력하는 BSD 스타일 옵션-f풀 포맷프로세스 목록을 출력하며, 부모 프로세스 ID, 프로세스 실행 사용..

시스템(Linux) 2024.09.2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