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데이터베이스 22

Microsoft SQL Server에서 사용되는 OPENQUERY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Microsoft SQL Server에서 OPENQUERY는 지정한 연결된 서버(OLE DB 데이터 원본)에서 전달된 쿼리를 실행하는 함수입니다.  주로 분산 데이터베이스 환경에서 사용되며, 여러 데이터베이스 간에 데이터를 조회하거나 수정할 때 유용합니다. Ⅰ. Open Query 란? SQL Server의 Linked Server 기능을 활용하여 원격 데이터베이스 서버에 직접 쿼리를 전달하고 그 결과를 로컬 서버로 가져오는 역할을 합니다. 주로 다른 데이터베이스 유형(예: Oracle, MySQL 등)과의 상호작용을 위해 사용됩니다.Ⅱ. Open Query 기본 문법SELECT * FROM OPENQUERY([Linked Server명], [원격 서버에서 실행할 SQL 쿼리]) Linked Server..

데이터베이스 2025.03.24

mysqldump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Ⅰ. mysqldump 란?MySQL 및 MariaDB 데이터베이스의 백업을 생성하는 유틸리티입니다. 백업뿐만 아니라, 데이터의 이관이나 복제 등과 같이 어떤 MySQL 서버에서 다른 서버로 데이터를 옮기는 경우에 많이 사용됩니다.Ⅱ. mysqldump 기본 구조mysqldump -u [사용자] -p [데이터베이스명] > 백업파일.sql -u: 사용자 이름 지정 -p: 비밀번호 입력 요구 [데이터베이스명]: 백업할 데이터베이스 > 백업파일.sql: 덤프를 저장할 파일Ⅲ. mysqldump 옵션ⅰ. 기본 옵션 옵션 설명 -u [사용자]MySQL 사용자 지정-p비밀번호 입력 요청-h [호스트]원격 서버 백업 시 사용 (예: -h 192.168.0.117)-P [포트번호]MySQL 서버 포트 지정 (기본값: ..

데이터베이스 2025.02.07

MySQL 8.0에서 패스워드 정책 확인 및 변경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MySQL 8.0에서 패스워드 정책을 확인하려면 SHOW VARIABLES 명령어를 사용하여 관련 설정을 조회할 수 있습니다.  validate_password 플러그인을 사용하여 패스워드 정책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Ⅰ. MySQL 8.0 패스워드 정책 확인 방법MySQL에 접속합니다[root@feccle ~] # mysql -u root -p  패스워드 정책 관련 변수들을 확인합니다: mysql> SHOW VARIABLES LIKE 'validate_password%'; 변수 이름설명validate_password_check_user_name사용자 이름이 비밀번호에 포함되는 것을 방지하는 설정합니다.validate_password_dictionary_file사전 파일의 경로를 지정하여 비밀번호가 사전에..

데이터베이스 2024.11.07

PostgreSQL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Ⅰ. PostgreSQL이란? 오픈소스 객체-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ORDBMS)으로, 확장성과 신뢰성이 뛰어나고 복잡한 트랜잭션을 처리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합니다. PostgreSQL은 높은 호환성을 자랑하며, ANSI SQL 표준을 준수하고 대규모 데이터와 복잡한 연산을 처리하는 데 매우 적합합니다. Ⅱ. PostgreSQL의 주요 특징ⅰ. ACID 준수:원자성, 일관성, 고립성, 지속성(ACID)을 철저하게 준수하여 트랜잭션의 안정성을 보장합니다. ⅱ. MVCC(Multi-Version Concurrency Control): 여러 사용자가 동시에 데이터를 수정할 때 발생할 수 있는 충돌을 방지하며, 동시성 처리 성능을 향상시킵니다. ⅲ. 확장성: 사용자 정의 데이터 타입, 함수, 집계 함..

데이터베이스 2024.10.29

aria init function returned error 에러 조치

MariaDB에서 "aria init function returned error" 메시지는 Aria 스토리지 엔진과 관련된 초기화 오류를 나타냅니다. Aria 엔진은 MariaDB에서 사용되는 스토리지 엔진 중 하나로, 테이블에 대한 트랜잭션 지원 및 복구 기능을 제공합니다. 이러한 오류가 발생하는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Ⅰ. 로그 파일 확인 먼저, 오류의 원인을 정확히 파악하기 위해 MariaDB 로그 파일을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로그 파일은 일반적으로 /var/log/mysql/error.log 또는 /var/log/mariadb/mariadb.log에 위치합니다. [root@feccle]# cat /var/log/mysql/error.l..

데이터베이스 2024.08.06

DDL, DML, DCL 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SQL 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DML (Data Manipulation Language), DCL (Data Control Language), DDL (Data Definition Language)은 SQL (Structured Query Language)의 세 가지 주요 하위 언어를 사용하게 됩니다. DML (Data Manipulation Language), DCL (Data Control Language), DDL (Data Definition Language)은 SQL (Structured Query Language) 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Ⅰ. DML (Data Manipulation Language)ⅰ. DML (Data Manipulation Language) 이란?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를 ..

데이터베이스 2024.07.27

오라클 데이터베이스에서 서비스 계정의 상태를 확인 및 관리

오라클 데이터베이스에서 서비스 계정의 상태를 확인하고 관리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Ⅰ. 계정 만료 확인오라클 데이터베이스에서 계정의 만료 상태를 확인하려면 DBA_USERS 뷰를 사용합니다. 아래의 SQL 쿼리를 통해 계정 만료 일자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ⅰ. 계정 상태 확인SELECT username, account_status, expiry_dateFROM dba_usersWHERE username = 'YOUR_USERNAME';위 쿼리에서 YOUR_USERNAME을 확인하려는 계정명으로 변경하십시오. ⅱ. 패스워드 변경 패스워드를 변경하려면 ALTER USER 명령어를 사용합니다. 아래의 SQL 명령어를 통해 패스워드를 변경할 수 있습니다. ALTER USER YOUR_USERNAME I..

데이터베이스 2024.07.26

Oracle High Availability (HA) 구성 중 RAC 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Oracle High Availability (HA) 구성은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의 가용성을 최대화하고 장애 발생 시에도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일련의 기술 및 아키텍처를 포함합니다. Oracle HA 구성을 통해 비즈니스 연속성을 보장하고 데이터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아키텍처별 사용되는 기술에 대해 간단히 정리하겠습니다.ㅣ 1) Active-Active 구성 - 여러 서버가 동시에 활성 상태로 데이터베이스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 부하 분산과 고가용성을 동시에 제공하며, 한 서버가 장애가 나도 다른 서버가 지속적으로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  Oracle RAC가 대표적인 예입니다. 2) Active-Passive 구성 - 주 데이터베이스(Active)가 정상 작동 중일 때 대기 데이..

데이터베이스 2024.07.23

Prepared Statement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Ⅰ. Prepared Statement란?데이터베이스에서 반복적으로 실행될 SQL 쿼리를 미리 준비하고 컴파일하여 성능을 최적화하고 보안을 강화하는 기법입니다. SQL 인젝션 공격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며, 반복 실행되는 쿼리의 성능을 최적화합니다. 플레이스홀더를 사용하여 쿼리를 매개변수화함으로써 코드의 가독성과 유지보수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다양한 프로그래밍 언어와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에서 지원되므로, 이를 적극 활용하여 안전하고 효율적인 데이터베이스 접근을 구현할 수 있습니다. Ⅱ.  Prepared Statement 특징ⅰ. 미리 컴파일된 쿼리 SQL 쿼리가 데이터베이스 서버에 전달되면, 서버는 쿼리를 컴파일하고 최적화된 실행 계획을 생성합니다. 준비된 쿼리는 여러 번 실행될 때 재컴파일되지 않고, 이..

데이터베이스 2024.07.05

SQL 인젝션에 대해 간단히 알아보겠습니다.

Ⅰ. SQL 인젝션이란? SQL 인젝션(SQL Injection)은 공격자가 응용 프로그램의 데이터베이스 쿼리에 악의적인 SQL 코드를 삽입하여, 원래 의도된 쿼리의 동작을 변경하거나 불법적으로 데이터에 접근하는 공격 기법입니다. 이를 통해 공격자는 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 유출, 수정, 삭제 또는 관리자 권한 획득 등의 부정행위를 할 수 있습니다. Ⅱ. SQL 인젝션의 종류와 특징 Union-based SQL InjectionError-based SQL InjectionBlind SQL InjectionBoolean-based Blind SQL InjectionTime-based Blind SQL Injection특징UNION SQL 연산자를 사용하여 하나 이상의 쿼리 결과를 결합합니다.의도적으로 오류를 ..

데이터베이스 2024.07.0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