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 474

UEFI(통합 확장 펌웨어 인터페이스, Unified Extensible Firmware Interface) 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Ⅰ. UEFI(통합 확장 펌웨어 인터페이스, Unified Extensible Firmware Interface) 란? 운영체제(OS)와 하드웨어 사이의 인터페이스를 정의하는 펌웨어 표준입니다. 과거의 BIOS(Basic Input/Output System) 를 대체하기 위해 개발된 차세대 펌웨어 시스템으로 하드웨어 초기화, 부트로더 로딩, 보안 기능 등을 보다 현대적인 방식으로 수행합니다. 컴퓨터 전원을 누르는 순간부터 운영체제(윈도우, 리눅스)가 시작되기 전까지, 가장 먼저 일어나서 모든 하드웨어를 점검하고 준비시키는 프로그램이 바로 UEFI입니다.Ⅱ. UEFI(통합 확장 펌웨어 인터페이스, Unified Extensible Firmware Interface) 등장 배경 (Background) 기존의..

카테고리 없음 2025.10.29

Filebeat 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Ⅰ. Filebeat 란? Elastic사가 개발한 경량 로그 수집기(Agent)로, 서버·컨테이너·클라우드 환경에서 생성되는 로그를 Elasticsearch, Logstash, Kafka 등으로 전송합니다. 2015년에 출시되었으며 Go 언어로 작성되어 리소스 사용이 적고 안정적인 로그 수집이 가능합니다. Ⅱ. Filebeat 구성 요소 Input → Harvester → Spooler의 세 단계로 작동합니다.단계구성요소설명1Input (Prospector)1) 로그 파일의 위치를 탐색 및 모니터링2) 설정 파일에 지정된 경로의 로그 파일을 찾아 Harvester를 실행 3) log, stdin, container, docker 등 다양한 입력 타입을 지원 4) 하나의 Filebeat에서 여러 Inpu..

어플리케이션 2025.10.28

BGP (Border Gateway Protocol) 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Ⅰ. BGP (Border Gateway Protocol) 이란? 인터넷의 핵심 라우팅 프로토콜로, 서로 다른 자율 시스템(AS) 간에 네트워크 정보를 교환하고 데이터 패킷이 이동할 최적의 경로를 결정합니다. BGP는 TCP 포트 179를 사용하며, 경로 벡터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정책 기반 라우팅을 수행하여 네트워크 트래픽의 흐름을 제어하고 효율적인 데이터 전송을 가능하게 합니다. Ⅱ. BGP (Border Gateway Protocol) 역할 ⅰ. 경로 결정: 인터넷을 구성하는 수많은 네트워크(AS) 간에 라우팅 정보를 교환하고, 데이터 패킷이 목적지까지 도달하는 가장 효율적인 경로를 선택합니다. ⅱ. 정책 기반 라우팅: 단순한 최단 거리뿐만 아니라 사업적 고려사항(비용 등)을 반영한 정책 기반의..

네트워크 2025.10.24

GARP(Gratuitous ARP) 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Ⅰ. GARP(Gratuitous ARP) 란? 자신의 IP 주소에 대해 자신이 보내는 특별한 ARP 요청입니다. 일반적인 ARP와 달리 다른 장치의 MAC 주소를 알아내려는 것이 아니라, 네트워크의 모든 장치에게 "내가 여기 있다"고 알리는 것이 목적입니다.Ⅱ. GARP(Gratuitous ARP) vs ARP 구분 GARP (Gratuitous ARP) ARP 목적자신의 IP-MAC 정보를 알리기 위함다른 호스트의 MAC 주소를 알아내기 위함요청 방향브로드캐스트로 네트워크 전체에 전송특정 IP 대상에게 요청응답 유무응답 없음응답 필요 (ARP Reply)사용 시점IP 충돌 탐지, Failover, IP 변경 시 등통신 전 주소 해석 필요 시Ⅲ. GARP(Gratuitous ARP) 동작 원리 ..

네트워크 2025.10.23

Apache 에서 사용되는 Virtual Host(가상 호스트) 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Ⅰ. Virtual Host(가상 호스트) 란? 하나의 Apache 웹 서버 프로세스에서 여러 웹사이트(도메인 또는 포트)를 동시에 서비스하기 위한 설정 기능입니다. 물리 서버는 하나지만, 여러 도메인(www.example.com, api.example.com, test. example.com 등)을 각각 독립된 사이트처럼 서비스할 수 있습니다. Ⅱ. Virtual Host(가상 호스트) 목적 Virtual Host는 물리적으로 한 대의 서버에서 여러 도메인 또는 사이트를 동시에 운영할 수 있게 만들어주는 Apache 웹서버의 기능입니다. ⅰ. 비용 절감: 서버 한 대로 수십~수백개의 사이트 운영 가능 ⅱ. 관리 효율: 사이트별로 설정, 로그, 보안 정책을 개별 적용 ⅲ. 활용 사례: aaa.co..

어플리케이션 2025.10.22

Syslog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Ⅰ. Syslog 란 ? Linux 및 Unix 계열 시스템에서 로그 메시지를 수집·저장·관리하는 표준 로깅 프로토콜입니다. 커널, 데몬, 애플리케이션 등 다양한 소스에서 발생하는 이벤트를 시간 순서대로 중앙집중식으로 기록하여, 시스템 운영자에게 문제 진단·보안 모니터링·시스템 상태 추적 등의 핵심 정보를 제공합니다. 현재 Syslog는 사실상의 Linux 로그 표준으로 자리 잡았으며, 모든 주요 배포판에서 기본적으로 사용됩니다. Ⅱ. Syslog의 동작 원리 ⅰ. 로깅 아키텍처 구조 구분 설명 커널 로깅 (Kernel Logging)커널 내부에서 발생하는 이벤트를 커널 링 버퍼(Ring Buffer)에 기록. 부팅 시점 로그가 주로 저장됨.사용자 로깅 (User Logging) 사용자 공간에서 실행..

시스템(Linux) 2025.10.17

데이터베이스 샤딩(Database Sharding)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Ⅰ. 데이터베이스 샤딩(Database Sharding) 이란? 대용량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저장하고 빠르게 처리하기 위해, 하나의 거대한 데이터베이스를 샤드(Shard)라고 불리는 여러 개의 작은 단위로 수평 분할(Horizontal Partitioning) 하는 기술입니다. 각 샤드는 독립된 데이터베이스로서, 전체 데이터의 일부만 담당하며 서로 다른 물리적 서버에 분산되어 저장됩니다. 즉, 모든 데이터를 한 서버에 집중시키지 않고 여러 서버에 나누어 저장함으로써 부하를 분산하고, 성능과 확장성, 내결함성(Fault Tolerance)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습니다. Ⅱ. 데이터베이스 샤딩(Database Sharding) 동작 원리 샤딩 시스템은 데이터를 어떻게 나눌지 결정하는 샤드 키(Shard Key..

데이터베이스 2025.10.16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Microservices Architecture)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Ⅰ.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Microservices Architecture) 란? 하나의 큰 애플리케이션을 작고 독립적인 서비스들의 집합으로 구축하는 소프트웨어 개발 방식입니다. 각각의 마이크로서비스는 특정한 비즈니스 기능을 수행하며, 다른 서비스들과 독립적으로 개발, 배포, 확장이 가능합니다. 요약하면, 여러 명의 전문가가 각자의 전문 분야에서 작업하며 공통된 목표를 향해 협력하는 것과 같습니다. 이는 모든 기능이 하나의 큰 덩어리로 묶여있는 전통적인 모놀리식(Monolithic) 구조와는 완전히 다른 접근 방식입니다. Ⅱ.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Microservices Architecture) 동작원리 및 구성요소 ⅰ. 서비스 구성 방식 1) 독립적인 서비스: 각 마이크로서비스는 자체적인 비..

어플리케이션 2025.10.15

웹 크롤러(Web Crawler) 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Ⅰ. 웹 크롤러(Web Crawler) 란? 인터넷상의 웹페이지를 자동으로 탐색하고 정보를 수집하는 프로그램입니다. 스파이더 봇이라고도 불리며, 거미가 거미줄을 타고 다니듯이 웹페이지들을 연결하는 링크를 따라 이동하며 정보를 수집합니다. 수집한 정보를 색인(인덱싱)이라는 과정을 통해 체계적으로 정리합니다. 마치 도서관에서 책들을 분류하여 정리하는 것처럼, 웹페이지의 내용을 구조화된 형태로 저장하여 나중에 검색할 때 빠르게 찾을 수 있도록 합니다. Ⅱ. 웹 크롤러(Web Crawler) 란? ⅰ. 인터넷 웹 크롤러 : 구글, 네이버 같은 검색엔진에서 사용하며, 전 세계 웹사이트를 탐색하여 새로운 페이지를 발견하고 색인을 지속적으로 확장합니다. ⅱ. 기업 웹 크롤러 : 특정 회사의 웹사이트 내부를 탐색하여..

어플리케이션 2025.10.14

검색엔진 최적화(Search Engine Optimization, SEO)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Ⅰ. 검색엔진 최적화(Search Engine Optimization, SEO) 란? 웹사이트나 웹페이지가 구글, 네이버와 같은 검색엔진에서 더 높은 순위로 노출될 수 있도록 최적화하는 과정입니다. 검색엔진에서 콘텐츠를 이해하도록 돕고, 사용자가 사이트를 찾아 방문할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돕는 활동을 의미합니다. 이는 광고가 아닌 자연 검색 결과(organic search result)를 통해 웹사이트의 가시성을 높이고, 트래픽의 양과 질을 극대화하는 마케팅 작업입니다. 구체적으로 표현하면, SEO는 검색사용자의 의도를 담은 콘텐츠를 제작하고, 이 콘텐츠를 검색 결과 페이지에서 잘 노출되도록 하는 과정입니다. 이는 검색엔진이 콘텐츠를 쉽게 발견하고, 읽어가며, 색인하고, 상위 노출시킬 수 있도록 웹사이트..

어플리케이션 2025.10.1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