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 377

네트워크 인터페이스(Network Interface)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Network Interface)란? 컴퓨터나 네트워크 장치가 네트워크에 연결되도록 도와주는 물리적 또는 가상 장치를 말합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통해 데이터가 컴퓨터와 네트워크 사이에서 송수신됩니다. Ⅱ. 네트워크 인터페이스(Network Interface) 주요 역할 ⅰ. 데이터 송수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는 데이터를 패킷 형태로 변환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하거나 수신한 데이터를 처리합니다.  ⅱ. 주소 관리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는 고유한 식별자인 MAC 주소를 통해 네트워크 상의 다른 장치와 통신합니다.  ⅲ. 프로토콜 처리 TCP/IP 같은 네트워크 프로토콜 스택과 협력하여 데이터 전송을 관리합니다.  Ⅲ. 네트워크 인터페이스(Network Interface) 구성 요소..

네트워크 2024.12.27

SSO(Single Sign On) 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Ⅰ. SSO(Single Sign On) 란 ? 사용자가 한 번의 인증으로 여러 애플리케이션이나 시스템에 접근할 수 있게 해주는 인증 솔루션입니다. 기업이나 조직 내 다수의 업무 시스템이 있을 경우 시스템별 계정관리를 각각해야되는 불편함을 개선할 수 있는 솔루션입니다.사용자가 한 번 로그인하면, 동일 세션 내에서 추가 인증 없이 연동된 모든 애플리케이션과 서비스에 접근 가능하며, 모든 애플리케이션의 인증 요청이 중앙화된 인증 서버에서 처리됩니다.Ⅱ.  SSO(Single Sign On)  작동 원리ⅰ. 사용자 인증 요청  : 사용자가 SSO 포털(또는 클라이언트)에 로그인하면 인증 정보가 생성됨ⅱ. 중앙 인증 서버(CAS, Central Authentication Server)  : 인증 서버에서 사용자..

보안솔루션 2024.12.27

Software Development Life Cycle (SDLC)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Ⅰ. Software Development Life Cycle (SDLC)란? 소프트웨어 개발의 효율성과 품질을 높이기 위해 체계적으로 설계된 프로세스입니다. SDLC는 소프트웨어 개발 프로젝트를 관리하고, 요구사항 수집에서 배포 및 유지보수에 이르기까지 모든 단계를 포괄합니다. Ⅱ. Software Development Life Cycle (SDLC) 목적 ⅰ. 품질 보장: 고품질 소프트웨어를 적시에 제공.  ⅱ. 비용 효율성: 불필요한 작업과 리소스 낭비 방지.  ⅲ. 시간 관리: 프로젝트 일정과 리소스를 효율적으로 관리.  ⅳ. 위험 최소화: 프로젝트 위험을 예측하고 예방. Ⅲ. Software Development Life Cycle (SDLC) 주요 7 단계No단계명목표활동결과물1요구사항 분석(..

어플리케이션 2024.12.24

CI/CD(Continuous Integration/Continuous Deployment)

Ⅰ. CI/CD(Continuous Integration/Continuous Deployment) 란? 소프트웨어 개발과 배포 과정을 자동화하고 효율화하는 방법론입니다. 이 방법론은 소프트웨어 개발 주기를 단축하고, 품질을 향상시키며, 배포 과정을 안정적으로 만드는 데 중점을 둡니다. CI/CD는 지속적 통합(Continuous Integration, CI)과 지속적 배포(Continuous Deployment, CD)로 구성되어 있습니다.ⅰ. 지속적 통합 (Continuous Integration, CI) 지속적 통합(CI)은 개발자들이 코드 변경 사항을 자주, 그리고 정기적으로 중앙 저장소에 통합하는 개발 관행입니다. CI의 주요 목표는 코드 변경 사항을 자주 병합하고, 자동화된 빌드와 테스트를 통해..

어플리케이션 2024.12.20

보안취약점 CVE (Common Vulnerabilities and Exposures)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Ⅰ. CVE (Common Vulnerabilities and Exposures)란?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의 보안 취약점을 표준화된 방식으로 식별하고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입니다. CVE는 보안 취약점을 고유하게 식별할 수 있는 ID를 제공하여 보안 전문가, 조직, 도구 간에 동일한 취약점을 명확히 참조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CVE는 MITRE Corporation이 관리하며, 미국 국토안보부(DHS) 산하의 사이버보안 및 인프라 보안국(CISA)이 지원합니다. Ⅱ. CVE(Common Vulnerabilities and Exposures) 주요 특징 ⅰ. CVE ID : CVE ID는 각 취약점을 고유하게 식별하는 번호입니다.기본 형식: CVE-연도-번호 CVE-2024-12345 연도: 취약점이 등..

ISMS-P 2024.12.19

안티바이러스(Antivirus)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Ⅰ. 안티바이러스(Antivirus)란? 악성 소프트웨어(Malware), 컴퓨터 바이러스, 스파이웨어, 트로이 목마, 랜섬웨어 등을 탐지하고 제거하여 컴퓨터나 네트워크 시스템을 보호하는 보안 소프트웨어입니다. 안티바이러스는 컴퓨터를 보호하는 첫 번째 방어선으로, 다양한 방식으로 시스템을 모니터링하고 악성 프로그램을 차단하여 사용자의 데이터를 안전하게 지키는 역할을 합니다. Ⅱ. 안티바이러스 (Antivirus) 주요 기능 ⅰ. 악성 소프트웨어 탐지(Malware Detection) 안티바이러스는 다양한 악성 소프트웨어를 탐지하고 차단하는 기능을 수행합니다. 이는 컴퓨터 바이러스, 트로이 목마, 웜, 랜섬웨어, 스파이웨어 등을 포함합니다. 안티바이러스는 이를 탐지하고, 의심되는 파일이나 프로그램을 격리하..

보안솔루션 2024.12.18

멀티 테넌트(Multi-Tenant) 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Ⅰ. 멀티 테넌트(Multi-Tenant) 아키텍처 하나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 인스턴스 및 물리적 인프라를 여러 개의 테넌트(고객 또는 사용자 그룹)가 공유하도록 설계된 아키텍처입니다. 각 테넌트는 독립적으로 구성된 환경을 가지며, 다른 테넌트와 논리적으로 격리되어 있습니다. 주로  SaaS(Software as a Service) 모델에서 사용됩니다. Ⅱ. 멀티 테넌트 (Multi-Tenant) 주요 특징 ⅰ. 공유 인프라 단일 애플리케이션 인스턴스와 하드웨어를 여러 테넌트가 공유함으로써 리소스 사용을 최적화합니다.  ⅱ. 논리적 분리 데이터와 애플리케이션 설정은 테넌트별로 격리됩니다. 따라서 보안과 데이터 무결성이 보장됩니다.  ⅲ. 높은 확장성 새로운 테넌트를 추가할 때 별도의 인프라 확장이 필..

클라우드(Cloud) 2024.12.17

보안 USB 보안솔루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Ⅰ. 보안 USB 보안 솔루션이란? USB 메모리와 같은 이동식 저장 장치에서 발생할 수 있는 데이터 유출, 악성코드 감염, 정보 유출 등의 보안 위협을 방지하기 위한 기술과 관리 체계를 의미합니다. 이를 통해 기업 및 기관은 민감한 데이터를 안전하게 관리하고 외부 위협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습니다. 사용 내역 모니터링, 정책 변경, 원격 데이터 삭제 등을 실시간으로 수행할 수 있으며,  모든 USB 및 이동식 저장 장치는 중앙 집중 관리하여 시스템 허가된 사용자만 USB 사용 가능 수 있고, 보안 정책 설정이 가능한 솔루션 입니다.Ⅱ.  보안 USB 보안 솔루션의 필요성 ⅰ. 데이터 유출 방지     1) USB는 데이터 이동이 간편하지만, 민감한 정보 유출 가능성도 높음.        (HDD, CD ..

보안솔루션 2024.12.16

머신러닝(Machine Learning)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Ⅰ. 머신러닝(Machine Learning)이란? 데이터를 기반으로 패턴을 학습하고, 이를 통해 새로운 데이터에 대해 예측하거나 결정을 내리는 인공지능(AI)의 한 분야입니다. 사람이 직접 프로그래밍하지 않고도 컴퓨터가 경험적 데이터를 이용해 스스로 개선할 수 있도록 합니다. Ⅱ. 머신러닝 (Machine Learning)  핵심 구성 요소 ⅰ. 데이터(Data) 머신러닝 모델의 학습과 예측의 기초가 되는 원자재입니다. 데이터는 정형(표 구조 데이터) 또는 비정형(이미지, 텍스트 등)일 수 있습니다.  ⅱ. 모델(Model) 데이터의 패턴을 학습하고 예측하는 역할을 합니다. 모델은 특정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설계됩니다.  ⅲ. 알고리즘(Algorithm) 데이터를 학습하기 위한 방법론입니다. 주요 알고리..

카테고리 없음 2024.12.16

멀티클라우드(Multi-Cloud) 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Ⅰ. 멀티클라우드(Multi-Cloud) 란? 여러 클라우드 서비스를 사용하는 전략으로, 기업이나 조직이 두 개 이상의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업체의 클라우드 인프라를 이용하는 모델입니다. 이는 하나의 클라우드 제공업체에 의존하지 않고, 여러 공급자의 클라우드를 동시에 사용하는 방식입니다.Ⅱ. 멀티 클라우드 (Multi-Cloud) 목적 ⅰ. 여러 클라우드 제공업체 사용  AWS, Microsoft Azure, Google Cloud 등 여러 클라우드 플랫폼을 동시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각 플랫폼의 강점을 활용하고, 특정 제공업체에 종속되지 않게 됩니다. ⅱ. 고가용성(High Availability) 멀티클라우드를 사용하면 클라우드 서비스 중 하나에 문제가 발생할 경우 다른 클라우드에서 서비스..

클라우드(Cloud) 2024.12.1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