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 384

SMB (Server Message Block)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Ⅰ. SMB 란? SMB (Server Message Block)는 네트워크 파일 공유 프로토콜로, 주로 Windows 운영 체제에서 사용됩니다. SMB는 파일 및 프린터 공유, 클라이언트 및 서버 간의 통신을 지원하여 네트워크에서 파일 및 리소스를 공유하는 데 사용됩니다. 다른 운영 체제에서도 지원되므로 SMB를 사용하여 Linux, macOS 등과 Windows 간에 파일을 공유할 수 있습니다. Ⅱ. SMB의 주요 특징 1) 파일 및 프린터 공유: 주로 파일 및 프린터를 공유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됩니다. 다수의 사용자가 네트워크에서 파일을 읽거나 쓸 수 있습니다. 2) 암호화 및 보안: SMB 버전들은 데이터를 암호화하여 보안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SMB 3.x 이상 버전에서는 SMB 암호화 및 서..

시스템(Windows) 2024.02.12

네트워크 장비인 스위치(Swtich)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Ⅰ. 스위치(Swtich) 란? 스위치(스위칭 허브)는 네트워크에서 데이터를 전달하는 장치로, OSI(Open Systems Interconnection) 모델의 제2계층인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 제7계층인 응용 계층까지 다양하게 동작합니다. 스위치는 네트워크 내의 다양한 장치들 간에 데이터를 전송하고 트래픽을 관리하는데 사용됩니다. 스위치 기능 OSI 모델 L2 스위치 MAC 주소 기반 2계층 L3 스위치 IP 주소 기반 3계층 L4 스위치 TCP/UDP/Port 분석처리, 로드밸런싱 3~4계층 L7 스위치 트래픽 내용 분석, 로드밸런싱 3~ 7계층 Ⅱ. 스위치의 5가지 가능 1) 러닝 (Learning): 스위치가 네트워크에 연결된 장치의 MAC 주소를 학습하고 기억하는 과정입니다. 네트워크 트래픽이 ..

네트워크 2024.02.10

IP 주소와 서브넷마스크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Ⅰ. IP 주소 란? IP 주소(Internet Protocol Address)는 컴퓨터 네트워크에서 각 장치를 식별하는 데 사용되는 고유한 숫자입니다. IP 주소는 TCP/IP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네트워크에서 데이터 패킷을 라우팅하는 데 사용되며, 인터넷에서 통신하는 데 필요한 핵심 구성 요소 중 하나입니다. 1) IPv4와 IPv6 ⅰ) IPv4 (Internet Protocol version 4): 가장 널리 사용되는 IP 주소 형식입니다. 32비트 주소로 표현되며, 보통 네 개의 8비트 숫자로 나뉘어 표현됩니다. ex) 192.168.0.1 ⅱ) IPv6 (Internet Protocol version 6): IPv4의 주소 고갈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도입된 새로운 IP 주소 형식입니다. 128비..

네트워크 2024.02.09

SFTP 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서버를 운영하다 보면 여러가지 방법으로 서버에 파일을 업로드를 해야 하는 경우가 생기는데, 그 중 한 가지 방법인 SFTP 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Ⅰ. SFTP 란? SFTP는 Secure File Transfer Protocol의 약자로, 네트워크를 통해 파일을 안전하게 전송하기 위한 프로토콜입니다. SFTP는 데이터 전송을 암호화하고 인증하는 데 사용됩니다. 주로 원격 서버와 클라이언트 간의 파일 전송에 사용되며, FTP는 평문으로 전송하는데 비해 암호화 하여 전송을 합니다. SFTP를 사용하면 원격 시스템 간에 파일을 안전하게 전송하고 관리할 수 있습니다. SFTP는 FTP와 비교하여 보안성이 뛰어나며, 보통 포트 22번을 사용합니다. Ⅱ. SFTP 의 특징 1) 보안성 : SFTP는 SSH 프로..

어플리케이션 2024.02.09

OPENSSL 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Ⅰ. OPENSSL 이란 ? OpenSSL은 암호화와 보안 프로토콜을 구현하는 오픈 소스 라이브러리입니다. 주로 SSL/TLS 프로토콜을 지원하여 안전한 데이터 통신을 제공합니다. 이 라이브러리는 다양한 암호화 기술과 암호 해독, 디지털 서명 등을 지원하여 네트워크 통신 및 보안 응용 프로그램에서 많이 사용됩니다. LINUX 및 UNIX 계열에서는 기본적으로 설치되어 있고, 윈도우 환경에서는 별도의 설치가 필요합니다. ​ Ⅱ. OPENSSL 주요 기능 기능명 설명 암호화 및 해독 데이터 및 파일을 다양한 암호화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암호화 및 해독할 수 있습니다. 디지털 서명 및 검증 RSA, DSA, ECDSA 등과 같은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디지털 서명 생성 및 검증이 가능합니다. 인증서 및 키페어 생성..

시스템(Linux) 2024.02.07

netsh 라는 명령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Windows 운영체제에서 Wifi 환경으로 구성이 되어있다면, 어떤 Wifi 로 설정할 것인지, 등록되어있는 Wifi 정보가 어떤 것이 있는지 확인 할 때 사용되는 net sh 라는 명령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Ⅰ. netsh 란 ?Network Shell 의 약자로 Windows 운영 체제에서 사용되는 명령줄 도구로, 네트워크 설정 및 관리를 위한 명령어입니다.사용자가 명령 프롬프트(CMD) 나 PowerShell에서 "netsh" 명령을 입력하여 네트워크 구성 요소를 관리할 수 있습니다.netsh 명령어를 사용하면 네트워크 설정, 방화벽 관리, 무선 네트워크 관리, 인터페이스 구성, IP 주소 설정, DNS 구성 등과 같은 다양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Ⅱ. netsh 사용방법ⅰ) 네트워크..

시스템(Windows) 2024.02.06

윈도우 원격 데스크탑 세션 타임 아웃 설정

윈도우 서버에서 윈도우 서버로 원격으로 접근을 하기 위해서 일반적으로 RDP(Remote Desktop Protocol)를 사용합니다. 윈도우 서버에 접속하여 세션 타임 아웃 설정이 되어 있지 않은 경우 보안상 위험하기에 세션 시간 제한을 설정해야 합니다. [로컬 그룹 정책 편집기] -> [컴퓨터 구성] -> [관리 템플릿] -> [Windows 구성 요소] -> [터미널 서비스] -> [원격 데스크톱 세션 호스트] -> [세션 시간 제한]

시스템(Windows) 2024.01.01

Linux 및 Unix 계열 세션 타임아웃 설정

인가되지 않는 사용자가 PC에 접근 할 경우를 대비해서 PC에 화면보호기나, 화면 잠금을 설정을 하는데 회사에서 운영하는 서버에서도 여러 사용자 분들이 여러 이유로 출입을 하게 될텐데 보안적인 이유로 일정 시간이 지나면 다시 계정을 로그인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세션 타임아웃 설정이 필요합니다. Linux 및 Unix 계열에서 타임아웃 설정에는 SSH / TMOUT 설정을 통해 가능합니다. Ⅰ. SSH 세션 타임아웃 설정: /etc/ssh/sshd_config 파일을 열어서 ClientAliveInterval 및 ClientAliveCountMax 값을 조절합니다. ex ) ClientAliveInterval 300 # 300초(5분) 동안 비활동 상태일 경우 ClientAliveCountMax 3 # 3..

시스템(Linux) 2023.12.29

RHEL 8, CentOS 8, Rocky 8 네트워크 설정

RHEL 8, CentOS 8, Rocky 8 버전 부터는 service, systemctl 명령어가 변경이 되었습니다. 네트워크 설정을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NetworkManager.service의 nmcli 명령어를 사용해야 합니다. Red Hat Enterprise Linux 8 (RHEL 8)에서 네트워크 설정을 수행하는 방법은 몇 가지가 있습니다. 네트워크 설정을 변경하려면 다음 단계를 따르세요. 네트워크 매니저 확인: RHEL 8에서는 NetworkManager가 기본 네트워크 매니저로 사용됩니다. 현재 사용 중인 네트워크 매니저를 확인하려면 다음 명령을 사용합니다.만약 NetworkManager가 비활성화되어 있다면, systemctl status NetworkManager 명령을 사용하여 ..

시스템(Linux) 2023.12.28

리눅스 사용자 계정 전환(Switch User) 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리눅스를 사용하다보면 계정 변경을 해서 사용해야 되는 경우가 있습니다.이럴 때 su [계정명] 와 su - [계정명] 을 통해 계정을 변경해야 될텐데 둘의 차이점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Ⅰ. su  란?Switch User 의 약자로 계정을 변경할 때 되는 명령어입니다.계정 변경에 대한 로그가 저장되는 위치는  /var/log/auth.log (또는 /var/log/secure 또는 /var/log/auth.log 등 다른 로그 파일에 따라 다를 수 있음)와 같은 시스템 로그 파일에 기록됩니다. Ⅱ. su [계정명] 으로 명령어를 실행 할 경우 su test1 특정 사용자로 전환할 때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su test1 을 실행하면 현재 사용자의 권한으로 test1 계정으로 전환됩니다. 이 경우, ..

시스템(Linux) 2023.12.2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