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리눅스를 사용하다보면 계정 변경을 해서 사용해야 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럴 때 su [계정명] 와 su - [계정명] 을 통해 계정을 변경해야 될텐데 둘의 차이점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Ⅰ. su 란?
Switch User 의 약자로 계정을 변경할 때 되는 명령어입니다.
계정 변경에 대한 로그가 저장되는 위치는 /var/log/auth.log (또는 /var/log/secure 또는 /var/log/auth.log 등 다른 로그 파일에 따라 다를 수 있음)와 같은 시스템 로그 파일에 기록됩니다.
Ⅱ. su [계정명] 으로 명령어를 실행 할 경우
su test1 |
특정 사용자로 전환할 때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su test1 을 실행하면 현재 사용자의 권한으로 test1 계정으로 전환됩니다. 이 경우, 현재 사용자의 환경 변수 및 환경 설정이 변경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새로운 사용자로 전환되더라도 원래 사용자의 환경 설정이 그대로 유지됩니다.
Ⅲ. su - [계정명] 으로 명령어를 실행 할 경우
su - test1 |
- 옵션을 포함하여 사용하면 현재 사용자의 환경을 새로운 사용자로 변경합니다. 로그인 계정에 설정된 환경 변수, 작업 디렉터리, 쉘 설정 등 환경을 제공하며, 새로운 사용자의 홈 디렉터리로 전환됩니다.
반응형
'시스템(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Linux 및 Unix 계열 세션 타임아웃 설정 (0) | 2023.12.29 |
---|---|
RHEL 8, CentOS 8, Rocky 8 네트워크 설정 (0) | 2023.12.28 |
리눅스 캐시 메모리 반환 (0) | 2023.12.26 |
리눅스 접속 시 배너를 통한 경고문 (0) | 2023.12.22 |
logrotate 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 2023.10.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