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Ⅰ. rsync 란?
rsync는 'Remote Sync'의 줄임말로 Unix 및 Linux 시스템에서 파일이나 디렉토리를 하나의 저장소(서버)에서 다수의 다른 저장소(서버)로 동기화 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입니다.
rsync 를 활용하여 rcp, scp 보다 빠르고 효율적으로 데이터를 동기화 할 수 있습니다.파일의 전체 데이터를 복사하는 대신 변경사항만 동기화해서 빠르게 복사 할 수 있습니다.Ⅱ. rsync 옵션
옵션명 | 설명 |
-v | 자세한 정보 출력(verbose) |
-z | 데이터 압축 |
-r | 하위 디렉터리까지 복사 ( 타임 스탬프, 파일 권한은 보존하지 않음) |
-a | 아카이브 모드(Archive mode) |
-h | Human-readable format |
-t | 타임스탬프(Time Stamp) 보존 |
-l | 심볼릭 링크 파일 보존 |
-p | 파일의 권한(Permission) 보존 |
-g | 그룹 속성 보존 |
-o | 소유자 속성 보존 |
-D | Device 관련 파일과 특수 파일 복사 |
Ⅲ. rsync 설치 및 설정
1. 서버 설정
1.1 rsync 설치여부 확인
1) [root@feccle]# rpm -qa | grep rsync
2) [root@feccle]# yum list installed rsync
|
1.2 설치
설치되어 있지 않을 경우 yum 명령어를 이용하여 설치 합니다.
[root@feccle]# yum install rsync |
1.3 /etc/xinetd.d/rsync 파일 수정
rsync를 xinetd를 이용하여 실행시키기 위해 /etc/xinetd.d/rsync 파일을 수정 합니다.
* /etc/xinetd.d/rsync 내용 중, disable 옵션을 no로 변경
service rsync
{
disable = no
socket_type = stream
wait = no
user = root
server = /usr/bin/rsync
server_args = --daemon
log_on_failure += USERID
}1.4 rsync restart
xinetd를 이용하여 rsync 서비스를 restart 합니다.
[root@feccle]#/etc/rc.d/init.d/xinetd restart |
1.5 rsync 포트 확인
netstat, nmap을 이용하여 rsync 포트가 정상적으로 open 되었는지 확인한다.
1) netstat 를 활용한 경우
[root@feccle]# netstat -an | grep 873 |
2) nmap 툴을 활용한 경우
[root@feccle]# nmap localhost
PORT STATE SERVICE
873/tcp open rsync
|
1.6 /etc/rsyncd.conf 파일 설정
rsync의 환경설정 파일인 /etc/rsyncd.conf 파일을 설정한다.
[rsync1] # 서비스명
path = /usr/local/src # 백업 할 디렉토리의 경로
uid = feccle
gid = feccle
use chroot = yes # path 디렉토리를 root 디렉토리로 사용
read only = no
hosts allow = xxx.xxx.xxx.xxx ## Client IP
max connections = 1
timout 600
ex) 예시
[rsync1]
path=/usr/local/tomcat/pubilc/upload
uid = root
gid = root
use chroot = yes
read only = no
hosts allow = 192.168.55.25
max connections = 1
timeout=600
1.7 방화벽 확인
- iptables 명령어로 방화벽을 확인합니다.
- 873 포트가 열려 있는지 확인합니다.
[root@feccle]# vi /etc/sysconfig/iptables |
- 만약 없다면 아래의 명령어를 추가합니다.
- A INPUT -p tcp -m state --state NEW -m tcp --dport 873 -j ACCEPT
- 추가후 iptables를 restart 한다.
[root@feccle]# /etc/init.d/iptables restart |
* 해당 Client 주소에도 확인을 합니다.
rsync [옵션] IP::[서비스명] [백업 다운받을 디렉토리]
ex) rsync -av 192.168.55.25::rsync1 /usr/local/tomcat_2/pubilc/upload
rsync -av 192.168.55.25::rsync2/usr/local/tomcat_1/pubilc/upload
# crontab 설정하기
crontab -e * * * * * [스크립트 경로]
crontab -l (crontab 리스트 출력)
crontab -r (crontab 리스트 삭제)
반응형
'시스템(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로키(Locky) 리눅스 기본 설치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0) | 2023.05.23 |
---|---|
SendMail 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0) | 2023.05.02 |
링크파일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0) | 2023.02.14 |
권한 및 그룹설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2) | 2023.01.30 |
접근통제 보안 모델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0) | 2023.01.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