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윈도우 환경에서 환경 변수란?
시스템의 설정이나 사용자 정보를 관리하는데 사용되는 변수입니다. 이 변수들은 주로 프로그램이나 시스템의 동작 방식에 영향을 미치며, 프로그램이 필요한 경로나 설정 정보를 제공합니다.
Ⅱ. 윈도우 환경에서 환경 변수 의 종류
시스템 환경 변수: 모든 사용자와 프로세스가 접근할 수 있는 변수입니다. 시스템 전반에 적용됩니다.
사용자 환경 변수: 특정 사용자에게만 적용되는 변수로, 개인적인 설정이나 정보가 저장됩니다.
Ⅲ. 주요 환경 변수
ⅰ. PATH: 실행 파일을 찾는 경로를 정의합니다. 여러 디렉토리가 세미콜론(;)으로 구분됩니다.
ⅱ. USERPROFILE: 현재 사용자의 프로필 경로입니다.
Ex) C:\Users\Username.
ⅲ. TEMP: 임시 파일을 저장하는 경로입니다.
ⅳ. APPDATA: 사용자 애플리케이션 데이터 경로입니다.
Ex) C:\Users\Username\AppData\Roaming.
ⅴ. HOMEPATH: 현재 사용자의 홈 디렉토리 경로입니다.
Ⅳ. 환경 변수 확인 방법
ⅰ. 명령 프롬프트에서 확인
1) 모든 환경 변수를 확인하려면 set 명령어를 입력합니다.
set |
2) 특정 환경 변수를 확인하려면 echo 명령어와 % 기호를 사용합니다.
echo %windir% |
ⅱ. 시스템 설정에서 확인:
1) Windows 10/11:
2) 시작 메뉴에서 **"제어판"**을 검색하여 열기.
3) "시스템" 클릭 후, "고급 시스템 설정" 선택
4) "환경 변수" 버튼 클릭하여 시스템 및 사용자 환경 변수를 확인하고 수정할 수 있습니다.
Ⅴ. 환경 변수 설정 및 수정 방법
ⅰ. 명령 프롬프트에서 설정
일시적으로 설정: 현재 세션에서만 유효합니다.
set VARIABLE_NAME=value |
예시
set Test=Hello |
ⅱ. 영구적으로 설정
1) 시스템 설정을 통해 앞서 설명한 "환경 변수" 창을 엽니다.
2) 사용자 또는 시스템 변수에서 "새로 만들기" 버튼 클릭.
3) 변수 이름과 값을 입력한 후 확인 클릭.
ⅲ. 명령 프롬프트에서 영구적으로 설정
1) Windows 10/11에서는 setx 명령어를 사용하여 영구적으로 환경 변수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setx VARIABLE_NAME "value" |
예시
setx Test "Hello" |
ⅳ. 환경 변수 삭제
1. 시스템 설정에서 삭제
1) "환경 변수" 창을 엽니다.
2) 삭제할 변수를 선택하고 "삭제" 버튼 클릭.
2. 명령 프롬프트에서 삭제
setx VARIABLE_NAME "" |
예시
setx Test "" |
Ⅵ. 환경 변수 활용 예시
ⅰ. PATH 변수 수정: 새로운 프로그램의 실행 파일 경로를 추가하려면 PATH 변수를 수정합니다.
setx PATH "%PATH%;"[경로]" |
예시
Java 개발을 위해 JAVA_HOME 변수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setx PATH "%PATH%;"C:\Program Files\Java\jdk1.8.0_251 |
이렇게 하면 C:\Program Files\Java\jdk1.8.0_251 에 있는 실행 파일을 명령어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그런 다음 PATH 변수에 %JAVA_HOME%\bin을 추가하면 Java 명령어를 사용할 수 있게 됩니다.
ⅱ. 스크립트에서 사용: 배치 파일(.bat)이나 PowerShell 스크립트에서 환경 변수를 참조하여 프로그램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습니다.
@echo off echo The user profile is located at %USERPROFILE% |
'시스템(Windo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Windows 운영체제에서의 프로세스(process)와 쓰레드(thread)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 2024.11.09 |
---|---|
Windows 운영체제에서의 가상 메모리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0) | 2024.11.08 |
드라이브 용량 증설을 하려고 했으나 볼륨 확장 버튼이 비활성화 조치 방법 (2) | 2024.10.14 |
Windows 운영체제에서 Apache 설치 (1) | 2024.10.03 |
chkdsk(Check Disk) 명령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0) | 2024.10.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