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 384

MBR, VBR, MFT 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윈도우 운영체제를 사용하는 많은 사람들이 NTFS 라는 파일시스템을 사용하게 됩니다. NTFS 시스템 구조에서는 MBR, VBR, MFT, 저널링, 파일 압축 등과 같은 다양한 기능이 있는데 그 중 MBR, VBR, MFT 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Ⅰ. NTFS 디스크 구조 MBR VBR MFT 시스템 파일 파일 영역 Ⅱ. Windows 부팅 순서 1) 전원 On 2) POST(Power 설정사항 로드 : CMOS의 설정사항을 읽어 옴. 3) MBR 로드 : 부팅 매체에 대한 기본 파일시스템 정보를 읽어 옴 4) 윈도우 부트 서브 시스템 실행 5) 윈도우 OS 로더(Winload.exe) 실행 : 각종 장치 드라이브를 로드하고, ntoskrnl.exe를 실행 Ⅲ. MBR(마스터 부트 레코드): 마..

시스템(Windows) 2023.07.13

Run Level 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Ⅰ. 런레벨(Run Level) 이란 ? 런레벨(runlevel)은 Unix와 Linux 계열 운영체제에서 시스템의 동작 모드를 정의하는 번호 또는 식별자입니다. 각 런레벨은 특정한 시스템 동작 상태를 나타내며 해당 런레벨에 따라 실행되는 서비스와 프로세스가 결정됩니다. Ⅱ. 리눅스 부팅(Booting) 순서 1) 리눅스 커널은 하드웨어를 확인하고 root 의 읽기 전용으로 마운트 수행 2) 디스크 검사 후 root의 쓰기 전용으로 다시 마운트 수행 3) 리눅스 커널은 init 프로세스를 실행하고 PID 1번 할당 4) init 프로세스는 자신의 설정파일인 /etc/initab 파일을 읽어서 디바이스(Device) 및 프로세스(Process)를 활성화 5) init 프로세스의 작업 수행은 리눅스의 Run..

시스템(Linux) 2023.07.11

Cmd 와 Power Shell 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Cmd 와 Power Shell 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Ⅰ. CMD (Command Prompt)란? MS-DOS 기반의 구문을 사용하며, Windows 버전에 상관없이 사용할 수 있습니다. Cmd는 명령어를 입력하고 실행하여 다양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작업을 수행하는 데에 사용됩니다 1) 파일 및 폴더 관리: 파일 및 폴더 생성, 복사, 이동, 삭제 등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2) 시스템 관리: 시스템 정보 확인, 네트워크 설정, 프로세스 관리, 서비스 제어 등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3) 명령어 실행: 다른 프로그램이나 명령행 도구를 실행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IP 구성을 확인하는 ipconfig, 시스템 재부팅을 위한 shutdown 등..

시스템(Windows) 2023.07.10

개인정보처리자 유형 및 개인정보 보유량에 따른 안전조치 기준

개인정보처리자 유형 및 개인정보 보유량에 따른 안전조치 기준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Ⅰ. 유형 1 (완화) 적용 대상 : 1만명 미만의 정보주체에 관한 개인정보를 보유한 소상공인, 단체, 개인 적용되는 안전 조치 기준 제5조(접근 권한의 관리) ② 개인정보처리자는 전보 또는 퇴직 등 인사이동이 발생하여 개인정보취급자가 변경되었을 경우 지체없이 개인정보처리시스템의 접근 권한을 변경 또는 말소하여야 한다. ③ 개인정보처리자는 제1항 및 제2항에 의한 권한 부여, 변경 또는 말소에 대한 내역을 기록하고, 그 기록을 최소 3년간 보관하여야 한다. ④ 개인정보처리자는 개인정보처리시스템에 접속할 수 있는 사용자계정을 발급하는 경우 개인정보취급자 별로 사용자계정을 발급하여야 하며, 다른 개인정보취급자와 공유되..

ISMS-P 2023.06.19

HWclock 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Ⅰ. Linux 및 유닉스 기반 운영 체제에서 시간 설정하는 방법 system clock과 hardware clock 로 시간 설정을 할 수 있습니다. 1) system clock은 file 생성, process 실행, 그리고 날짜와 시각이 필요한 곳에 쓰이며 date 명령어 혹은 ntpd service를 통해 수동 혹은 자동으로 설정 혹은 조회가 가능합니다. 2) hardware clock은 motherboard의 CMOS 설정과 관련있으며, hwclock 명령으로 설정할 수 있습니다. 이외에도 clockdiff나 uptime등의 명령이 있다. Ⅱ. hardware clock 중 hwclock 이란? hwclock 은 Linux 및 유닉스 기반 운영 체제에서 하드웨어 시계(RTC - Real-Time ..

시스템(Linux) 2023.06.17

로키(Locky) 리눅스 기본 설치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로키(Locky) 리눅스 기본 설치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여러가지 환경에 맞춰 개발자환경, GUI 환경 등등이 있으나, 기본 설치 이후 Yum 등의 명령어로 설치가 가능하다보니 먼저 어떻게 설치를 하는지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Ⅰ. 로키(Rocky) 리눅스 ISO 다운로드 로키 리눅스 다운로드 페이지 (https://rockylinux.org/download) Download Rocky | Rocky Linux Download Rocky | Rocky Linux Rocky Linux is an open enterprise Operating System designed to be 100% bug-for-bug compatible with Enterprise Linux. 위의 페이지로 이동하..

시스템(Linux) 2023.05.23

SendMail 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Ⅰ. Sendmail 이란? 리눅스에서 Sendmail은 일반적으로 전자 메일을 보내는 데 사용되는 메일 전송 에이전트(MTA)입니다. Sendmail은 유닉스 및 리눅스 운영 체제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MTA 중 하나입니다. Sendmail은 기본적으로 텍스트 기반의 구성 파일을 사용하여 구성됩니다. 이 파일은 일반적으로 /etc/mail/sendmail.cf 또는 /etc/sendmail.cf와 같은 경로에 저장됩니다. Sendmail은 이 구성 파일을 사용하여 메일 전송 구성, 인증 및 보안 구성, DNS 구성 등을 지정합니다. Ⅱ. Senmail 설치 Sendmail은 Unix 계열 운영체제에서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메일 전송 에이전트(MTA) 중 하나입니다. 현재는 Postfix, Exim..

시스템(Linux) 2023.05.02

PHP 보안설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PHP는 서버측에서 실행되는 스크립트 언어로 동적인 웹 페이지를 만드는 데 많이 사용하고 있습니다. 대표적인 프레임워크로는 Laravel, CodeIgniter, CakePHP, Symfony 등이 있으며, 대표적인 CMS로는 WordPress, Drupal, Joomla 등이 있습니다. 많은 웹 어플리케이션에서 많이 사용되는 언어 중 하나로 사용되고 있지만, 기본적으로 보안성이 떨어지는 언어로 알려져 있습니다. PHP를 보다 안전하게 사용하려면 php.ini 파일에서 일부 보안 설정을 변경해야 할 수 있습니다. 1. display_errors 설정 변경 에러가 발생하면 그 내용을 출력하는 기능이 있습니다. 이 기능은 개발자들이 디버깅을 수행할 때 유용하지만, 공격자들이 취약점을 찾아내는 데 도움이 됩니..

어플리케이션 2023.05.01

라우팅 및 라우팅 프로토콜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Ⅰ. 라우팅 및 라우팅 프로토콜 이란 ? 라우팅은 패킷이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될 때, 출발지와 목적지 간 최적의 경로를 결정하는 프로세스입니다. 라우터나 스위치와 같은 네트워크 장비는 라우팅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데이터 패킷을 보낼 때마다 가장 적합한 경로를 선택하게 됩니다. 대규모 네트워크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올바른 라우팅 설정이 제대로 이루어지면 네트워크 성능을 최적화하고, 데이터 전송 지연을 최소화하여 대역폭 활용도를 높일 수 있습니다. 라우팅 프로토콜은 대개 인터넷 프로토콜(IP)을 기반으로 작동합니다. IP 주소를 사용하여 데이터 패킷이 보내지는 목적지를 식별하며, 라우팅 프로토콜은 라우터 간에 IP 주소 정보를 교환하여 네트워크의 모든 라우터가 서로를 인식하고, 최적의 경로를 선택할..

네트워크 2023.04.29

SCP( Secure Copy) 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Ⅰ. SCP 란 ? SCP(secure copy) 원격 컴퓨터간에 파일을 안전하게 전송하기 위한 프로토콜입니다. SCP는 SSH (Secure Shell)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하며, SSH를 통해 암호화된 터널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습니다. 암호화된 터널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기때문에 전송 시 제3자에게 노출되지 않습니다. Ⅱ. SCP 사용법 1) scp [옵션] [원본 파일 경로] [대상 서버 계정명]@[대상 서버 주소]:[대상 서버 파일 경로] 옵션명 설명 -P 원격 서버의 포트를 지정합니다. 기본 포트는 22입니다. -r 디렉토리를 복사할 때 사용합니다. 이 옵션을 사용하여 디렉토리 전체를 복사할 수 있습니다. -p 파일 권한 및 타임스탬프를 유지합니다. -F SSH 구성 파일을 지정합니다...

어플리케이션 2023.04.2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