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리눅스에서 디스크를 추가로 할당하는 과정은 크게 다음과 같은 단계로 진행됩니다:
Ⅰ. 디스크 확인
새로운 디스크가 시스템에 인식되었는지 확인합니다.
[root@feccle ~]# lsblk |
※ lsblk 명령어란?
리눅스에서 블록 장치(block devices)를 확인하는 도구입니다. 디스크, 파티션, 가상 디스크 등 블록 장치의 계층 구조를 트리 형태로 출력하며, 장치의 이름, 크기, 유형, 마운트된 위치 등의 정보를 보여줍니다.
NAME | MAJ:MIN | RM | SIZE | RO | TYPE | MOUNTPOINT |
장치 이름 Ex) sda, sdb1 등 |
주요/부 장치 번호 | 제거 가능한 장치 여부 (0: 고정, 1: 이동식) |
장치 또는 파티션 크기 |
읽기 전용 여부 | 장치 유형 Ex) disk, part등 |
마운트된 디렉토리 위치 |
Ⅱ. 디스크 파티셔닝
nvme0n1 장치에서 보면 디스크의 크기가 60GB인데 40GB 만큼 할당이 된것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추가 디스크의 MOUNTPONT 는 /data 라는 위치로 할당해보겠습니다.
fdisk or parted 같은 도구를 사용하여 새 디스크에 파티션을 만듭니다.
[root@feccle ~]# fdisk /dev/nvme0n1 |
ⅰ. n을 눌러 새 파티션 생성
ⅱ. 파티션 번호와 섹터를 지정 (기본값으로 두면 됩니다)
ⅲ. w를 눌러 파티션 테이블을 저장하고 종료
Ⅲ. 파일 시스템 생성
파티션에 파일 시스템을 생성합니다. 예를 들어 ext4 파일 시스템을 생성하려면:
[root@feccle ~]# mkfs.ext4 /dev/nvme0n1p3 |
Ⅳ. 마운트 지점 생성
디스크를 마운트할 디렉토리를 만듭니다.
[root@feccle ~]# mkdir /data |
Ⅴ. 디스크 마운트
새로운 디스크를 마운트합니다.
[root@feccle /]# mount /dev/nvme0n1p3 /data |
Ⅵ. fstab에 등록 (부팅 시 자동 마운트)
/etc/fstab 파일에 새 디스크 정보를 등록하여 시스템 부팅 시 자동으로 마운트되도록 합니다.
먼저 UUID를 확인합니다
[root@feccle /]# blkid /dev/nvme0n1p3 |
/etc/fstab 파일을 편집하여 다음 라인을 추가합니다. (UUID는 위 명령으로 확인된 값을 사용하세요)
UUID=e7401f8d-06f7-4746-8874-8f45341a368b /data ext4 defaults 0 2 |
UUID= [UUID값] [마운트될 디렉터리] [파일시스템 유형] [마운트옵션] [백업 수행여부] [부팅 시 파일시스템 점검 순서] |
※ /etc/fstab 설정 설명
설정명 | 설명 |
UUID=your-uuid-value | 파일 시스템의 고유 식별자(UUID)를 지정합니다. your-uuid-value 부분은 해당 디스크의 실제 UUID 값으로 대체되어야 합니다. UUID는 디스크 장치를 시스템에서 고유하게 식별하는 역할을 합니다. |
/data | 디스크를 마운트할 디렉토리 경로입니다. 여기서는 /data 디렉토리에 마운트되도록 설정합니다. |
ext4 | 파일 시스템 유형을 지정합니다. 이 예에서는 ext4 파일 시스템을 사용합니다. 만약 다른 파일 시스템(ex: xfs, ntfs)을 사용한다면 여기에 해당 파일 시스템 유형을 입력해야 합니다. |
defaults | 마운트 옵션을 지정합니다. defaults는 기본적인 마운트 옵션을 사용하겠다는 뜻으로, 읽기/쓰기, 디바이스 접근 가능, 실행 가능 등의 기본 옵션이 포함됩니다. |
0 | dump 명령어를 사용할 때 백업을 수행할지 여부를 나타냅니다. 0은 백업하지 않음을 의미합니다. |
2 | 부팅 시 파일 시스템 점검 순서를 지정합니다. 0은 점검하지 않음을 의미하며, 1은 루트 파일 시스템에 사용됩니다. 그 외의 숫자는 점검 |
Ⅶ. /etc/fstab 및 파일시스템 확인
[root@feccle /]# mount -a [root@feccle /]# df -h |
반응형
'시스템(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var/log/messages 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0) | 2024.10.28 |
---|---|
YAML(YAML Ain't Markup Language)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2) | 2024.10.25 |
RPC(Remote Procedure Call)에 대해 알아보곘습니다. (0) | 2024.10.16 |
vi: command not found 오류 발생 시 조치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3) | 2024.10.09 |
쿠버네티스(Kubernetes)를 구성하고 관리하는 주요 도구인 kubeadm, kubectl, kubelet에 대해 역할과 기본 사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2) | 2024.10.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