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Ⅰ. Watch 명령어란 ?
윈도우 내 파일 다운로드 실시간 확인 및 프로세스 동작 모니터링 할 때는 새로고침이라는 기능을 통해서 쉽게 확인을 할 수 있습니다. 리눅스에서도 비슷한 기능을 가진 기능이 있습니다. 파일 시스템의 변경 사항을 감지하고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는 명령어입니다. 일반적으로 파일이나 디렉토리의 변경 사항을 주기적으로 확인하여 변경 사항이 있을 때마다 특정 작업을 수행합니다. 주로 리눅스나 맥 OS와 같은 유닉스 기반 시스템에서 사용됩니다.
Ⅱ. Watch 옵션
옵션명 | 설명 |
-n 또는 --interval | 지정된 간격(초 단위)으로 명령어를 실행합니다. 예를 들어, -n 5는 5초마다 명령어를 실행합니다. |
-d 또는 --difference | 이전 실행 결과와의 차이를 강조해서 보여줍니다. 변경된 부분을 쉽게 식별할 수 있게 해줍니다. |
-t 또는 --no-title | 윗부분의 제목 행을 표시하지 않습니다. 이 옵션을 사용하면 명령어의 출력이 제목 행으로부터 시작합니다. |
-h 또는 --help | 도움말 메시지를 표시합니다. 각 옵션에 대한 설명과 함께 사용법을 보여줍니다. |
-V 또는 --version | 버전 정보를 표시합니다. |
Ⅲ. Watch 사용 방법
watch [옵션] 명령어 또는 스크립트 |
ex) 현재 위치의 디렉토리의 파일 목록을 5초마다 업데이트하여 화면에 표시합니다:
watch -n 2 ls |
반응형
'시스템(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스템 활동에 대한 리소스 사용 및 성능 통계를 확인하는 명령어인 sar 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0) | 2024.04.24 |
---|---|
리눅스 실행중인 프로세스 정보를 가지고 있는 proc 파일 시스템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0) | 2024.04.23 |
도커(Docker) 가 무엇인지, 도커의 백업은 어떻게 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0) | 2024.04.11 |
좀비(Zombie) 프로세스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0) | 2024.02.20 |
OPENSSL 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0) | 2024.02.07 |